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대칭키, 비대칭키, 공개키, 개인키 개념 정리
    추가 지식 2022. 3. 20. 23:01

    대칭키

    • 암호화, 복호화 할 때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경우이다.(1개의 키를 사용)
    • 어떤 키로 암호화 했다면 수신자도 같은 키가 있어야 복화하가 가능하다.
    • 암호문과 대칭키를 함께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암호문을 전달하는 경로와 다른 경로로 대칭키를 전달해야 한다.

     

    비대칭키

    • 암호화 할 때 사용하는 키와 복호화 할 때 사용하는 키가 다른 경우이다.
    • 2개의 키를 사용하며, 개인키와 개인키를 토대로 만든 공개키가 쌍을 이룬 형태이다.
    • 공개키 : 말 그대로 누구에게나 공개된 키
    • 개인키 : 개인 하나만이 소지할 수 있는 키

     

    공개키로 암호화 하는 경우

    • 상대방의 공개키로 암호화 하고 전송하면, 데이터를 수신한 사람은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 한다.
    • 공개키는 널리 배포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한 명의 개인키 소유자에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.

     

    개인키로 암호화 하는 경우

    • 개인키 소유자가 개인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공개키와 함께 전달한다.
      이 과정에서 공개키와 데이터를 획득한 사람은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호화가 가능하다.
    • 데이터 보호의 목적 보다는 공개키 제공자의 신원을 보장해 주기 때문이다.
    • 암호화된 데이터가 공개키로 복호화 된다는 것은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개인키에 의해서 암호화 되었다는 의미.
    • 이 방법이 공인인증체계의 기본 바탕이 되는 전자 서명이다.

    '추가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2진법 계산  (0) 2022.05.16
    스레드 정리  (0) 2022.05.02
    REST, REST API, RESTful 개념 정리  (0) 2022.03.13
    맥 단축키 모음  (0) 2022.02.28
    IntelliJ 단축키 정리  (0) 2022.02.20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